1. FreeSync는 HD 7790, R7 260X, R9 285, R9 290시리즈만 지원. 이에반해 NVIDIA의 G-Sync는 GTX 600시리즈 이후 모든 GPU에서 지원.
2. 미리 알려졌던 DP만 있으면 기존 모니터도 지원가능하다는 사실과는 달리 아직까지는 지원모니터가 없음. 따라서 추후 출시되는 FreeSync지원 모니터 구입이 필요.
여기서 FreeSync란?
-게임의 프레임이 모니터의 주사율이 60보다 더 높이 올라갈경우 한 화면에 여러개의 프레임이 보여질수 있는데 이걸 티어링이라고 부름. 이 티어링을 제거할려고 강제로 프레임을 60에 고정시키는걸 수직동기화라고 부르는데 수직동기화를 키며 인풋랙이 생기고 프레임이 60이하로 떨어지는 순간 급격한 스터터링이 생김. 이걸 보완할려고 엔비디아에서 개발한게 G-sync인데 모니터에 모듈을 장착해서 프레임에 따라 모니터의 주사율을 변화시킴. 60 이상으로 올라갈경우 모니터 주사율도 올라가서 티어링이 안생기고 60 미만으로 떨어져도 모니터 주사율이 내려가니 스터터링이 안생김 정도로 요약이 가능하네요.
그런데 현 시점에서 쓸 수있는 G-Sync 모니터가 800달러로써.. 아직 신경은 안써도 되겠네요.
덧글